오늘은 미국 주택 시장 전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기존 주택 판매(Existing Home Sales, EHS)를 소개합니다. 기존 주택 판매 소개, 수치 해석, 투자 방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소개 순으로 진행합니다.
기존 주택 판매 소개
기존 주택 판매(Existing Home Sales, EHS)는 주택 판매 시장에서 신규 주택 판매를 제외한 기존 주택 판매량을 의미하며, 선행지표로 사용합니다. 개인의 재산 중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주택 시장의 변화는 개인 심리,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줍니다. 나아가 경제 활동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기존 주택 판매에 주목하게 됩니다. 기존 주택 이외에도 관련 지표로는 신규 주택 판매과 소비자의 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 심리 지수가 있습니다.
미래 경기를 보여주는 신규주택판매
오늘은 미래 경기 전망에 사용하는 신규주택판매(New Home Sales)를 소개합니다. 신규주택판매 소개, 수치 해석, 투자 방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순으로 진행합니다. 미래 경기에 대한 지
pelbean.com
소비자들의 생각을 알려주는 소비자 심리지수
오늘은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 심리를 반영하는 소비자 심리지수를 소개합니다. 소비자 심리지수의 의미, 수치에 대한 해석, 투자 방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순으로 진행합니다. 소
pelbean.com
기준 주택 판매 수치 해석
기존 주택 판매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미분양 주택 판매 소진에 필요한 개월 수가 줄어들면, 주택 시장이 좋아지고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로 같이 살펴볼 지표로는 잠정 주택 판매(Pending Home Sales Index)가 있습니다. 기존 주택 판매가 이뤄지기 1, 2달 전에 계약을 맺는데, 이를 반영하는 것이 잠정 주택 판매입니다. 그래서 기존 주택 판매의 선행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같이 살펴봐야 합니다.
매달 발표되는 기존 주택 판매량 이외에도 판매 주택의 중간 가격,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주택 및 중간 가격의 변화 비율, 지역별(South, West, Northeast, Midwest) 판매 비율, 미분양 주택 재고 소진에 필요한 개월 수, 가격 범위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투자 방향
기존 주택 판매와 다른 경제 지표들을 통해서 경제가 좋다고 판단하면, 민감한 투자 수단을 찾아야 합니다. 하나의 경제지표로만 투자 방향을 설정하면 안됩니다. 반대라고 한다면, 안전 자산인 국채나 현금을 보유해야 합니다. 또한 주택 시장 회복에 있어서 같이 살펴봐야 하는 지표로는 미분양 주택 재고량이 있습니다. 이 수치는 모든 미분양 주택이 팔리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알려주기 때문에, 주택 시장의 움직임을 판단할 때 같이 살펴봐야 합니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 소개
briefing economic calendar에서 Existing Home Sales를 검색하면, 매월 데이터를 요약해서 제공합니다. 정리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확인하시려는 투자자들에게 추천합니다. briefing.com은 기존 주택 판매 이외에도 다양한 미국 경제 지표 일정과 요약 정보를 제공합니다. 미국 기존 주택 판매 데이터는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기존 주택 판매, 잠정 주택 판매 이외에도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을 확인하기 원하시는 투자자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