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자라면 꼭 체크해야 하는 장단기 금리차

by ⇽⇼↹↙ 2021. 7. 31.

오늘은 장단기 금리차(yield curve)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선행지표로, 투자자라면 꼭 체크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장단기 금리차 의미, 수치 해석, 투자 활용, 장단기 금리차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 순으로 진행합니다. 

 

 

 

장단기 금리차 의미

장단기 금리차는 장기국채와 단기 국채의 금리 차이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yield curve라고 합니다. 이 차이는 패턴이 있고, 경기 상황에 따라서 오르기도, 내려가기도 합니다.

 

수치 해석

장단기 금리차를 해석하기 전에 단기 국채와 장기국채에 대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단기 국채

단기 국채는 정책에 영향을 받습니다. 기준 금리는 단기 국채에 영향을 주고, 단기 또는 중기 국채는 기업의 자금 조달에 영향을 줍니다. 연준은 코로나로 인해 기업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지 않게 하기 위해 기준 금리를 낮게 유지합니다. 기준 금리가 올라서 단기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 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실물 경제가 더 나빠집니다. 그래서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는 연준에 의해서 단기 국채 금리가 낮게 유지됩니다.

 

장기국채

장기국채는 채권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의 경제 상황을 낙관적으로 바라본다면, 안전한 국채에 투자하기보다는 위험 자산에 투자합니다. 장기국채의 수요가 낮아지면서 가격은 내려가고, 금리가 올라갑니다. 반대로 미래의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다면, 안전한 국채에 투자를 합니다. 장기국채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가격은 올라가고, 금리는 내려갑니다. 

 

장단기 금리차 축소와 확대의 의미

채권 투자자들이 미래의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다고 판단하면, 장기국채 수요가 늘어나면서 장기국채 금리가 줄어듭니다. 그러면,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하게 됩니다. 반대로 미래의 경제 상황이 낙관적이라고 판단하면, 장기국채 수요가 줄어듭니다. 그러면,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게 됩니다.

 

 

 

장단기 금리차 패턴

yield-curve
yield-curve

위의 그림은 미국 장기국채(10년), 단기 국채(3개월) 금리 차이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는 장기일수록 금리가 높지만, 그래프를 보면, 둘의 차이가 마이너스인 경우도 보입니다.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채권 투자자들이 앞으로의 경기 상황이 불확실하다고 판단해 장기 국채 수요가 높아지면서 금리가 내려가고, 이후에는 단기금리보다 낮아지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장단기 금리차는 경기침체 직전에 바닥을 찍고, 올라갑니다. 경기침체가 오면 계속 상승합니다. 경기침체가 마무리되면, 올라가다가 다시 떨어지기도 합니다. 위의 그림은 패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채권 투자자들은 경기를 하나의 싸이클로 바라봅니다. 시장 상황이 좋다고 해서 계속 좋은 것이 아니고, 나쁘다고 해도 계속해서 나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자들은 채권자들이 경기를 싸이클로 보고 있다는 점을 활용해야 합니다.

 

 

투자 활용

장단기 금리차는 정확하게 어느 시점에 주식시장의 폭락이 오는 것을 알려주지는 않지만, 충분히 대비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장단기 금리차는 경기 침체가 오기 전에 이미 바닥을 찍고 올라가니 안전 자산에 우리의 자산을 옮기는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 미국의 닷컴 버블, 리만, 코로나에서도 장단기 금리차를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코로나는 이를 예측한 것은 아니겠지만, 경기 흐름상 침체가 올 거라 판단한 채권 투자자들이 많았음을 의미합니다. 투자에서는 돈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정관계이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가 상승할 때는 장단기 금리차 상승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판단하는지 아니면, 인플레이션인지를 같이 살펴봐야 합니다.

 

 

장단기 금리차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

10년 3개월 금리차, 10년 2년 금리차 각각 링크를 클릭하시면 위의 그래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을 입력해서 확인할 수 있고, 오른쪽 상단에 download를 통해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