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산자 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ppi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사용합니다. 생산자 물가지수 의미, 수치 설명, 투자 방향, 물가지수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순으로 진행합니다.
생산자 물가지수 의미
생산자 물가지수는 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의 처음 출하 가격을 측정해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소비자가 지불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측정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마트에서 생기지 않습니다. 소매업체는 인상된 가격에 상품을 살 뿐입니다. 따라서 생산자 상품 가격으로 미래의 소비자 물가가 어떻게 바뀔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생산자 물가지수는 소비자 물가지수에 선행적인 성격이 있습니다.
수치 설명
ppi를 볼 때는 단기적으로 전월 대비 얼마나 상승 또는 하락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3개월 또는 5개월 이동평균선을 사용해서 방향성을 살펴봐야 합니다. 생산자 물가지수에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가 포함됩니다. 그래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 이동 평균선을 사용합니다. 또는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낮추기 위해서 2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이동평균선의 방향성을 살필 수도 있습니다.
오르는 방향성은 소매단계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경제가 좋지 않을 때, 소매업자나 생산업자의 이익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생산자는 최종 소비자에게 미치는 가격인상 요인을 흡수하려고 노력합니다. 살아남기 위해 비용을 낮추고, 가격이나 임금을 줄이지만, 경기가 좋을 때는 가격이 소비자에게 전가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내려가는 것은 분석에 왜곡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경기가 좋지 않아서 떨어질 수도 있고, 아니면 제조업 수준에서 효율성을 개선한 것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투자 방향
- 물가연동국채
- 금
- 인플레이션이 덜한 통화
- 원자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대로 가지고 있기보다는 위의 4가지 형태로 투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물가지수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연방준비은행에서 발표하는 생산자 물가지수는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82년의 수치를 100으로 기준해서 나타냅니다. 검색창에 producer price index를 입력하면, All Commodities 이외에도 Commodity, Industry 종류에 따라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개별 영역의 지표들을 확인해서 투자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노동 통계국에서 발표하는 생산자 물가지수는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방준비은행 생산자 물가지수보다 자세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판단 과정에서 하나의 지표가 아니라 여러 지표들도 같이 활용해야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지표로는 GDP 디플레이터, 금 시세, TIPS 스프레드가 있습니다.
댓글